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18 [건강기능식품] 들깨쇠비름 혼합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들깨쇠비름 혼합 추출물이란? 들깨쇠비름 혼합 추출물이란 들깨와 쇠비름을 원료로 한 추출물로,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원료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들깨와 쇠비름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두 식물입니다. 들깨는 꿀풀과 (Lamiaceae) 들깨속 (Perilla)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들깨의 잎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로 그 깻잎입니다. 쇠비름은 약간 생소하실 수 있는 식물인데요. 쇠비름과 (Portulacaceae) 쇠비름속 (Portulaca)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유럽이나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고요. 밭이나 들에서 잘 자라나는 식물로 보통 여름이나 가을경에 수확합니다. 나물이나 무침 요리의 재료로 쓰기도 합니다. 쇠비름은 생약 재료로도 쓰입니다. 이 때는 쇠비름이라고 부르지 않고, 마치현이라고 부릅.. 2023. 5. 14. [기타정보] 아세트아미노펜과 간독성 자료 정리 아세트아미노펜이란? 아세트아미노펜은 대표적인 진통제 성분 중 하나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들어있는 유명한 제품명 중 하나가 타이레놀이지요. 아세트아미노펜은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성분입니다. 따라서 여러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해열진통제입니다. 어린이가 열이 났을 때 먹는 시럽을 비롯해서, 성인용 감기약이나 여러 질환의 진통제로 널리 쓰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하루 권장량은? 만 12세 이상의 청소년 또는 성인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최대 4g 이하로 복용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일반적인 500mg 정제의 경우, 제조사들은 필요할 때마다 한번에 1-2알씩 4-6시간마다 복용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어떻게 대사될까?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서 대사되어서 체외로 배출됩니다. 이 때,.. 2023. 5. 12. [기타성분원료] 식물 수세미 (수세미오이 또는 수세미외) 효능, 부작용, 복용법 식물 수세미 (수세미오이)란? 수세미 또는 수세미오이 (수세미외)는 박과 (Cucurbitaceae) 수세미오이속 (Luffa)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유래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에서 잘 자라는 편입니다. 수세미라고 하면 합성섬유나 철로 만들어진 세척용 수세미를 떠올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원래 수세미는 식물의 이름이었습니다. 수세미외 또는 수세미오이라고도 불리는 이 식물의 열매는 익을 수록 부드러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열매를 가공 건조시키면 촘촘한 망처럼 엮인 섬유질 구조의 천연 스펀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공 수세미가 등장하면서,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아직도 천연수세미라는 소개와 함께 판매되곤 합니다. 수세미의 학명은 Luffa cylin.. 2023. 5. 10. [기타보조제 원료] 돌미나리 효능, 부작용, 복용법 돌미나리란? 돌미나리는 미나리과 (Apiaceae) 미나리속 (Oenanthe)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상대적으로 따듯한 기후에서 잘 자라납니다. 돌미나리는 미나리의 일종입니다. 미나리는 크게 두 종류로 구별합니다. 물미나리와 돌미나리로 나누어지는데요. 같은 종의 미나리라도 논에서 직접 재배한 미나리라면 물미나리라고 불리고, 야생에서 자라난다면 돌미나리라고 부릅니다. 돌미나리는 물미나리에 비해 크기가 더 작지만, 잎이 저 짙은 새을 띄고, 미나리 특유의 향이 더 강한 편입니다. 미나리의 학명은 Oenanthe javanica입니다. 미나리를 영어로 할 경우, 워터 드랍워트 (water dropwort) 또는 워터 셀러리 (water celery)라고 많이 부릅니다... 2023. 5. 8. [기타보조제 원료] 명일엽 (신선초) 효능, 부작용, 복용법 명일엽 (신선초)이란? 명일엽 (또는 신선초)은 미나리과 (Apiaceae) 당귀속 (Angelica)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동북아시아의 날씨가 상대적으로 따듯한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명일엽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일본 이름을 그대로 음독한 것입니다. 일본어로 밝을명 (明)자에 날일 (日)자, 그리고 잎엽 (葉)자를 쓰고, 아시타바라고 읽습니다. 내일의 풀이라는 뜻인데요. 이 단어를 그대로 우리나라 한자발음으로 읽어서 명일엽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명일엽은 신선초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불립니다. 이는 식물의 생명력이 강하다는 점에서 유래한 이름인데요. 줄기를 잘라내도, 다음날에 바로 새순이 나올 정도로 회복력이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다고 하네요. 명일엽의 학명은 Angelic.. 2023. 5. 6. [건강기능식품] 황기 추출물 등 복합물 (HT042) 효능, 부작용, 복용법 황기 추출물 등 복합물이란? 황기 추출물 등 복합물은 건강기능식품의 개별인정원료입니다. 황기 추출물 등 복합물 (HT042)을 구성하는 주요 원료는 황기, 속단, 가시오갈피입니다. 황기란 콩과 (Fabaceae) 황기속 (Astragalus)에 속하는 식물로 동아시아가 주요 원산지입니다. 황기 (학명 Astragalus membranaceus 또는 Astragalus propinquus)는 한약재로도 많이 쓰입니다. 기운이 떨어졌을시 이를 보충하고, 땀이 많이 나는 체질에 잘 맞는 약재로 여겨졌습니다. 주로 황기의 뿌리부분이 한약재로 쓰였습니다. 속단 (학명 Phlomis umbrosa)은 꿀풀과 (Lamiaceae) 속단속 (Phlomis)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동아시아 및 중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한 식.. 2023. 5. 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8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