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정보] 아세트아미노펜과 간독성 자료 정리

by 웰빙유랑 2023. 5. 12.

아세트아미노펜이란?

 

아세트아미노펜은 대표적인 진통제 성분 중 하나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들어있는 유명한 제품명 중 하나가 타이레놀이지요. 

 

아세트아미노펜은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성분입니다. 따라서 여러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해열진통제입니다. 어린이가 열이 났을 때 먹는 시럽을 비롯해서, 성인용 감기약이나 여러 질환의 진통제로 널리 쓰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하루 권장량은?

 

만 12세 이상의 청소년 또는 성인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최대 4g 이하로 복용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일반적인 500mg 정제의 경우, 제조사들은 필요할 때마다 한번에 1-2알씩 4-6시간마다 복용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어떻게 대사될까?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서 대사되어서 체외로 배출됩니다. 이 때, 간에서 글루쿠로니데이션 (glucuronidation)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참고) 글루쿠로니데이션 과정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글루쿠로나이드 (glucuronide) 성질의 분자로 바꿉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음전하를 띄는 친수성 물질로 바뀌게 되고, 이후에 여러 체내 배출과정을 거쳐서 몸 밖으로 빠져나갑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체내로 흡수된 아세트아미노펜이 간 쪽으로 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아세트아미노펜의 특징은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권고되는 최대량보다 더 많은 양을 복용할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커지게 됩니다.

 

 

 

 

아세트아미노펜과 간독성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다복용은 간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적정량의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할 경우, 간에서 포합반응 (conjugation reaction)과 같은 대사작용을 거쳐서 소변으로 빠져나갑니다.

 

대부분의 아세트아미노펜이 간에서 대사를 거쳐서 체외로 배출되고, 아주 적은 양만이 산화작용을 일으켜서 반응성 대사산물 (reactive metabolites)로 전환됩니다. 

 

이 반응성 대사산물이 조금만 만들어진다면, 글루타치온과 같은 물질과 반응하여서 이 역시 무사히 체외로 빠져나갑니다.

 

그런데 아세트아미노펜을 한꺼번에 많이 복용할 경우, 이러한 정상 대사작용에 과부하가 걸립니다.

 

 

 

결국 많은 양의 아세트아미노펜이 제시간에 몸에서 배출되지 못합니다. 남아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은 더 많은 반응성 대사산물을 합성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성 대사산물들은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 물질들을 고갈시키고, 세포 손상을 초래합니다. 대표적으로 세포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가 타겟이 됩니다.

 

미토콘드리아가 손상을 입으면서, 세포의 정상적인 유지가 힘들어지고요. 이 때문에, 간과 같은 장기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정상개체수도 줄어들게 됩니다. 그리고 정상 세포가 줄면서 간 손상이나 괴사 등을 야기합니다.

 

해당 간독성에 관한 기전은 대부분 동물 실험 (특히 쥐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인간 간세포 실험이나 아세트아미노펜을 과다복용한 환자의 사례를 통해 분석할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기전을 통해 간독성이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증상은?

 

경미한 독성 반응일 경우, 증상이 두드러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보통 아세트아미노펜을 과다복용한 후, 구역감이나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이 보고되었습니다. 신부전이나 췌장염의 사례도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간독성 반응이나 간부전 등은 이보다 늦게 발현될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독성의 대응법

 

아세트아미노펜을 과다복용했을 경우,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주십시오.

 

아세트아미노펜이 체내로 흡수되기 전에 구토를 유발하여서 아세트아미노펜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고요.

 

아세트아미노펜의 반응성 대사산물이 소모시키는 글루타치온을 다시 보충하는 방식으로 아세트아미네폰의 독성 반응을 줄이는 등의 치료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세틸시스틴이라는 물질을 사용합니다). 

 

 

 

<참고 자료>

 

Mechanisms of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and their translation to the human pathophysiolog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489132/

Acetaminophen Poisoning
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injuries-poisoning/poisoning/acetaminophen-poisoning

 

타이레놀정50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199303108aupdateTs2022-03-07%2017:54:59.84155b 

A Review on Various Uses of N-Acetyl Cystein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241507/

Acetaminophen Poisoning: A Case Based Approach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517953/

Paracetamol (acetaminophen) poisoning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43815/

Acetaminophen (paracetamol) poisoning in adults: Pathophysiology, presentation, and evaluation
https://www.uptodate.com/contents/acetaminophen-paracetamol-poisoning-in-adults-pathophysiology-presentation-and-evaluation

PharmGKB summary: Pathways of acetaminophen metabolism at the therapeutic versus toxic dose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498995/

Glucuronidation: Driving Factors and Their Impact on Glucuronide Disposition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6605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