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보조제 원료] 측백나무 추출물 효능,부작용,복용법

by 웰빙유랑 2022. 7. 5.

측백나무란?

 

측백나무 (Platycladus orientalis 또는 Thuja orientalis)

 

측백나무란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측백나무속(Thuja)에 속하는 침엽수입니다.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 러시아의 극동 지방을 비롯해 남아시아 지역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시아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동아시아의 민간의학에서 약재로 활용해온 식물이기도 합니다. 측백나무의 잎이나 열매를 채취하여 장염을 다스리거나, 불안감을 진정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측백나무의 학명은 Platycladus orientalis입니다. Thuja orientalis라고 표기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측백나무를 뜻합니다. 영어로 단순하게 쓰일 때는 Chinese thuja, Oriental thuja 등으로 불립니다.

 

서양측백의 경우, 학명이 Thuja occidentalis라는 품종입니다. 

서양측백에 대한 정보를 찾고 계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기타보조제 원료] 서양측백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측백나무 추출물의 효능

 

1. 측백나무 추출물이 우울증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22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측백나무의 종자 (측백나무의 씨앗) 추출물은 우울증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울증 증상을 보이는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쥐에게 측백나무 종자 추출물을 섭취하도록 하고, 우울증 증상이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가지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쥐의 뇌를 분석하여 뇌의 신경전달물질 구성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요.

 

측백나무 종자 추출물을 섭취한 경우, 우울 증세 때문에 휴식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는 현상이 감소하였습니다. 

 

측백나무 추출물은 또한 아드레날린 수용체와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세로토닌이 뇌 내에서 작용하는 시간을 늘리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측백나무 추출물은 우울 증세로 인해 일상활동과 휴식이 영향 받는 것을 방지하고, 뇌내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쳐 우울 증세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latycladus orientalis seed extract as a potential triple reuptake MAO inhibitor rescue depression phenotype through restoring monoamine neurotransmitters
https://pubmed.ncbi.nlm.nih.gov/35489661/

 

 

2. 측백나무 추출물은 항염증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1년에 발표된 실험에서는 측백나무 추출물이 염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측백나무로부터 다양한 추출성분을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요.

 

아비에탄 (abietane), 두 종류의 이소피마란 디테르펜 (isopimarane diterpenes), 디하이드로벤조퓨란 네오리그난 (dihydrobenzofuran neolignan), 세스퀴테르펜 글리코사이드 (sesquiterpene glycoside), 그리고 페놀 글리코사이드 (phenol glycoside)를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습니다.

 

그 결과, 디하이드로벤조퓨란 네오리그난을 제외한 다섯 종류의 추출 성분은 염증을 매개하는 화학물질의 생성을 저지하거나 염증 단백질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따라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측백나무 추출물은 염증을 진정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ompounds from Platycladus orientalis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nitric oxide and TNF-α production
https://pubmed.ncbi.nlm.nih.gov/21412696/

 

 

3. 측백나무 추출물이 탈모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6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측백나무 추출물은 탈모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측백나무에서 추출한 세드롤 (cedrol) 성분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쥐의 털을 면도한 후, 쥐의 피부에 세드롤 추출물을 21일동안 발라서 발모의 효과를 알아보았습니다.

 

측백나무 세드롤 추출물을 바른 쥐의 경우, 털이 자라나는 것이 더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세드롤의 용량에 비례하였습니다.

 

세드롤 추출성분을 30mg/mL의 용량으로 바른 암컷 쥐의 경우, 위약이나 미녹시딜 2%를 바른 쥐보다 털이 자라나는 속도가 빨랐습니다. 

 

또한 세드롤 추출성분을 바른 쥐의 경우, 쥐의 성별에 관계 없이 2% 미녹시딜을 바른 쥐보다 더 무게가 나가는 털이 자라났습니다. 이는 세드롤 추출성분을 바를 경우, 털이 더 튼튼하고 단단하게 자라남을 뜻합니다.

 

따라서 실험의 결과로 보건대, 측백나무에서 추출한 세드롤 성분은 탈모 증상을 개선하고 발모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air growth promoting activity of cedrol isolated from the leaves of Platycladus orientalis
https://pubmed.ncbi.nlm.nih.gov/27459121/

 

 

 

 

측백나무 추출물의 부작용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경우, 큰 부작용이 없는 원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속이 울렁거리거나 구토감, 설사, 속쓰림 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양의 측백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계속 하여 섭취할 경우, 신체의 대사 작용을 저해하고 간과 신장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량의 측백나무 추출물을 필요하실 때 섭취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피부 두드러기나 염증, 가려움증 등을 경험한 경우, 관련 제품의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십시오.


Thuja occidentalis (Arbor vitae): A Review of its Pharmaceutical,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ropertie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62158/

 

 

 

 

 

 

측백나무 추출물의 복용법

 

측백나무 추출성분은 제품에 따라 함량과 복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해주세요.

 

 

 

 

 

 

식물성 원료 성분을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