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보조제 원료] 서양측백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by 웰빙유랑 2022. 3. 31.

서양측백이란?

 

서양측백 Thuja occidentalis

 

서양측백은 측백나무과 눈측백속 침엽수의 일종으로 일년 내내 푸르른 상록수입니다. 침엽수이니만큼 추운 지역에서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서양측백은 주로 캐나다와 미국의 북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나무이지요. 북미 지역에서는 관상수로도 선호된다고 합니다.

 

측백나무 계통은 피톤치드를 생성하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사람의 심리를 진정시키고 몸을 이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해서 관심을 받았는데, 측백나무 입장에서는 벌레를 쫓기 위해 만들어내는 물질의 일종입니다.

 

서양측백의 학명은 Thuja occidentalis입니다. 영어로 표기할 때는 northern white cedar이나 arborvitae라고 쓰기도 합니다. 

 

 

 

 

서양측백의 효능

 

1. 서양측백 추출물이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도울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2018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서양측백으로부터 추출한 오일이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서양측백의 잎과 솔방울에서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여 미생물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서양측백 에센셜 오일을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은 알파-피넨 (a-pinene)과 세드롤 (cedrol) 그리고 베타 펠란드렌 (β-Phellandrene)이었습니다. 

 

서양측백나무에서 추출한 기름은 실험에서 항산화 작용을 보여줬을 뿐 아니라, 음식을 통해 전염되는 9종의 미생물에 대해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보여주었습니다. 실험에서 관찰된 서양측백 추출오일의 항미생물 작용 중 제일 두드러진 것은 항진균 (곰팡이를 억제) 작용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상기 연구에서는 서양측백의 항균과 항진균 작용이 음식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천연물질로도 쓰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언급합니다. 서양측백은 미생물 억제 작용을 통해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e Influence of Organs on Biochemical Properties of Tunisian Thuja occidentalis Essential Oils
https://www.mdpi.com/2073-8994/10/11/649

 

 

2. 서양측백 추출물이 항바이러스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2013년의 연구에 따르면 서양측백 추출물이 항바이러스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일종에 서양측백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항바이러스 작용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에 노출된 세포의 생존율이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 증상 역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이런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볼 때, 서양측백 추출물은 항바이러스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상기 실험에서는 서양측백 추출물 뿐만이 아니라 해국 (Aster spathulifolius)와 해송 (Pinus thunbergii)의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작용 역시 살펴보았습니다. 해국과 해송 추출물 역시 일정 수준의 항바이러스 작용을 보였습니다. 다만 서양측백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약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고 하네요.

 

해국과 관련한 정보를 더 찾으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건강기능식품] 해국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상기 연구논문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Antiviral activity of the plan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Aster spathulifolius, and Pinus thunbergii against influenza virus A/PR/8/34
https://pubmed.ncbi.nlm.nih.gov/23314378/

 

 

3. 서양측백 추출물이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2008년의 연구에서는 서양측백 추출물의 간을 보호하는 효능에 주목하였습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서양측백 추출물이 플라보노이드, 탄닌, 다당류가 풍부한 물질로 항산화, 항바이러스 작용은 물론 설사 증상을 완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서양측백 추출물이 간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쥐에게 특정 화학물질을 노출시켜 간손상을 유도한 뒤, 서양측백 주정추출물을 투여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화학물질로 인한 간의 급성 손상 및 만성 손상으로부터 간이 일정수준 보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서양측백 추출물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간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epatoprotective activity from ethanol fraction of Thuja occidentalis Linn. 
https://www.indianjournals.com/ijor.aspx?target=ijor:ajrc&volume=1&issue=1&article=009

 

<참고>

 

서양측백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가 아니기 때문에,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없습니다.

 

 

 

 

서양측백 추출물의 부작용

 

적정량을 초과하여 섭취하였을 시, 울렁거림이나 구역감, 설사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드문 경우이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의 서양측백 추출물을 섭취한 후 발작을 경험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알러지 반응 역시 가능합니다. 서양측백 추출물을 섭취한 후, 피부 발진이나 가려움증, 홍반 등이 발생하였다면 섭취를 중지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세요.

 

임산부와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 자료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임신 또는 수유 중이신 경우, 서양측백 추출물의 섭취에 주의해주세요.

 

 

 

 

서양측백 추출물의 복용법

 

서양측백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가 아니기 때문에, 식약처에서 정한 일일섭취량이 없습니다.

제품에 따라 함량과 복용법, 용도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제품의 설명을 참고해주세요.

 

 

서양측백 추출물이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기 때문에, 사마귀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관련 보조제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만약 섭취하신다면, 제조사의 안내에 따라 섭취해주세요.

 

섭취한 뒤, 3일 이상이 지나도 증상 개선의 기미가 없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빌어 사마귀를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