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래덩굴이란?
청미래덩굴이란 청미래덩굴과 (Smilacaceae) 청미래덩굴속 (Smilax)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한국과 일본,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일대와 일부 동남아시아 지역 등에서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청미래덩굴은 쓰임새가 다양한 식물입니다.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 부분은 전통의학의 약재로 쓰입니다 (한약재로 쓰일 경우, 토복령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보통 신장 기능이나 배앓이 등에 효과가 있다고 말하지요.
청미래덩굴은 경상도 지방에서 망개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말아서 찐 떡을 망개떡이라고 합니다.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청미래덩굴을 망개나무라고 부르긴 하지만, 원래 망개나무는 아예 다른 식물입니다.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의 나무인데요.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있는 식물입니다. 특정 지역의 망개나무들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하였지요.
따라서 경상도 지역에서 청미래덩굴을 망개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일종의 지역별 별칭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청미래덩굴의 학명은 Smilax china입니다. 영어로는 China root 등으로 불립니다.
청미래덩굴의 효능
1.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항균 및 항산화 작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1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분석하여, 해당 추출물의 주요성분과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미래덩굴 열수 추출물과 청미래덩굴 주정 추출물 모두 폴리페놀 성분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검출되었습니다.
또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라디칼 제거 작용은 항산화 효과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청미래덩굴 주정 추출물은 청미래덩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 효과를 보였습니다. 위장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인 바실루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나 장염을 유발하는 장염비브리오 (Vibrio parahaemolyticus) 균 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습니다.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Extracts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106654859741.page
이러한 항균 효과는 떡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2006년에 발표된 논문은 청미래덩굴의 잎에서 얻은 추출물이 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는데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떡에 많이 사용하는 것은 떡의 향, 맛, 질감 등을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은 떡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였습니다. 섭씨 20도에서 보관시, 처음에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얼마나 사용하느냐에 상관 없이 미생물의 수가 비슷하였습니다.
하지만 보관 4일차에 다시 살펴본 결과,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사용할 수록 떡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미생물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떡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Chemical Composition of Smilax china Leav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s Prepared with Its Water Extract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609905845730.page?fbclid=IwAR3kzD1qjmsY_nkdryTC2VrVBoFnVUi3JXOsHhhudtqgoiVvs4qpu6mG2b8&lang=ko
2.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5년에 발표된 논문은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멜라닌 색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청미래덩굴의 잎과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세포실험을 통해서 테스트한 결과, 추출물이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미백 효과는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용량에 비례하였습니다.
또한 세포실험을 진행한 결과,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별다른 세포독성 없이 항산화 작용을 증진시키는 것 역시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실험 결과들로 봤을 때,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별다른 부작용 없이 피부의 미백작용과 항산화 효과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초임계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미백 효과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3705013#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f6c96dd49c06196ffe0bdc3ef48d419&outLink=K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여드름 원인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2022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항균 작용은 여드름을 유발하는 특정 세균에도 유효합니다.
여드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박테리아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상기 논문에서는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Cutibacterium acnes) 균을 억제하는데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청미래덩굴 추출성분 중 케르세틴, 레스베라톨, 옥시레스베라톨이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를 억제하는데 높은 효능을 보였다고 하네요.
Antimicrobial Activity of Smilax china L. Root Extracts against the Acne-Causing Bacterium, Cutibacterium acnes, and Its Active Compounds
https://www.mdpi.com/1420-3049/27/23/8331
3.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체중과 체지방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9년에 발표된 논문입니다.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지방 함량이 높은 먹이를 쥐에게 먹이면서,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8주간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습니다.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보조적으로 섭취하는 것은 쥐의 체중과 체지방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는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지방 합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지방 분해 과정을 촉진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Dietary supplement of Smilax china L. ethanol extract alleviates the lipid accumulation by activating AMPK pathways in high-fat diet fed mice
https://nutritionandmetabolism.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86-019-0333-z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부작용
청미래덩굴 추출물에 대한 부작용 연구가 아직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합니다.
언급되는 부작용으로는 가벼운 울렁거림이나 복통 등이 있습니다.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부 두드러기, 가려움증, 발진 등을 경험했다면, 해당 제품의 섭취를 중단한 후 병원에 방문해주십시오.
임산부,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 자료가 부족합니다. 임신 또는 수유 중이신 경우,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섭취에 주의해주세요.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복용법
제품에 따라 제형, 1회 함량, 복용법 등이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한 후 섭취하여 주십시오.
식물성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오늘도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정보] 탈모에 대해 알아보자 (정의,종류,예방,치료 정보 등) (0) | 2023.04.04 |
---|---|
[건강정보] 칼슘과 카페인의 상호작용? 칼슘 흡수에 영향이 있을까? (0) | 2023.04.02 |
[건강기능식품] 콩보리 발효 복합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29 |
[기타성분원료] 자작나무 추출물 효능, 부작용, 사용법 (0) | 2023.03.27 |
[기타성분 원료] 수국차 (산수국의 일종) 성분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