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란?
자작나무는 자작나무과 (Betulaceae) 자작나무속 (Betula)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세계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품종도 다양한 종들이 있습니다.
자작나무는 20m에 달하는 높이로 자라는 나무입니다. 자작나무의 안쪽 껍질은 비상시 식량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보이는 품종은 Betula platyphylla입니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게 유지되는 아한대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품종입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일대와 러시아의 극동 지역 등지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여러 자작나무 품종에 대해서 다룹니다. 언급될 품종으로는 Betula papyrifera, Betula pendula 등이 있습니다. 자작나무는 영어로 버치 (birch)라고 합니다.
자작나무 추출물의 효능
1. 자작나무 추출물이 항균 작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20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자작나무 추출물은 세균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연구진들은 백자작나무 (white birch, Betula papyrifera Marshall)의 껍질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균 효능을 실험하였습니다.
여러 용매를 사용하여 백자작나무 추출물을 제조한 뒤, 항균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 수용성 추출물이 세균 억제 작용에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항균 작용은 백자작나무의 성분 중 하나인 카테콜 (catechol)에서 두드러졌습니다.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birch (Betula papyrifera Marshall) bark extract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957409/
2022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도 자작나무의 항균 작용에 대해 주목합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자작나무 추출물은 박테리아 중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뚜렷한 항균 작용을 보입니다.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는 그람 양성 박테리아인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Cutibacterium acnes)나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표피포도구균 (Spaphylococcus epidermidis) 등에서 항균 효과를 드러냈지요.
또한 피부에 상처가 날 경우, 그 피부 상처를 회복하는데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자작나무 추출물을 도포한 경우 상처가 더 빨리 아물었습니다.
따라서 자작나무 추출물은 항균 작용 뿐만 아니라, 상처 회복에 일정수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ntimicrobial Activity and Wound-Healing Capacity of Birch, Beech and Larch Bark Extract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102567/
2. 자작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8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자작나무 잎 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다룹니다.
자작나무 건조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작용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자작나무 건조잎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였습니다. 각종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을 케르세틴 (quercetin)으로 변환하여 정량 계산을 할 경우, 1g 당 총 플라보노이드 42.5mg이 함유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실험 분석을 한 결과, 일정 수준의 항산화 작용 역시 보였습니다.
논문 초록의 원문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Antioxidant Activity of Dry Birch (Betula Pendula) Leaves Extract
https://pubmed.ncbi.nlm.nih.gov/31188766/
3. 자작나무 추출물이 항바이러스 작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4년에 발표된 논문입니다. 해당 논문에서는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의 바이러스 억제 효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에 들어있는 펜타사이클릭 트리테르펜 (pentacyclic triterpenes) 성분들은 단순 헤르페스 1형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단순 헤르페스 1형 (herpes simplex virus type1, HSV-1)은 구순포진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입술 주변에 포진이 잡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입술포진이라고도 부릅니다.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은 아시클로버가 듣거나 듣지 않는 저항성 단순헤르페스 1형 바이러스에 대해 모두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투여할 경우, 아시클로버 민감성과 저항성 바이러스 모두 개체수가 뚜렷하게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미리 투여한 상태에서 단순헤르페스1형 바이러스에 세포를 노출시킬 경우, 세포에서의 바이러스 증식률이 떨어졌습니다. 즉, 일정수준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Pentacyclic triterpenes in birch bark extract inhibit early step of herpes simplex virus type 1 replication
https://pubmed.ncbi.nlm.nih.gov/25172789/
자작나무 추출물의 부작용
적정량의 자작나무 추출물을 섭취하는 것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부작용으로는 경미한 복통이나 울렁거림, 구역감 등이 있습니다.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피부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증 등을 경험했다면, 해당 제품의 섭취 또는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십시오.
임산부와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 자료가 부족합니다. 임신 또는 수유 중이시라면, 자작나무 추출물의 섭취에 주의해주십시오.
자작나무 추출물의 사용법
제품에 따라 함량과 사용법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해주십시오.
식물성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오늘도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식물 원료] 청미래덩굴 (별칭 망개나무)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31 |
---|---|
[건강기능식품] 콩보리 발효 복합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29 |
[기타성분 원료] 수국차 (산수국의 일종) 성분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25 |
[기타보조제 원료] 해바라기씨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23 |
[건강기능식품] 민들레 등 복합추출물 (AF-343)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