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추출물 성분] 머위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by 웰빙유랑 2023. 3. 7.

머위란?

 

머위는 국화과 (Asteraceae) 머위속 (Petasites)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머위는 우리나라에서 음식 재료로 많이 알려져 있지요. 어린 머위잎을 양념에 무쳐서 나물로 먹거나, 머위대를 들기름에 볶아서 반찬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전통의학의 약재로도 쓰였습니다.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고요. 해독 성분이 있다고도 하지요.

 

머위의 학명은 Petasites japonicus입니다. 영어로는 버터버 (butterbur)이나 그레이트 버터버 (great butterbur)라고 불립니다.

 

 

 

 

머위 추출물의 효능

 

1. 머위 추출물이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21년에 발표된 논문에 다르면, 머위 추출물은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머위 추출물을 활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머위 추출물은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alkaline phosphatase)가 활성화되는 것이 두드러졌는데요. 해당 효소는 조골세포 (골아세포 또는 골모세포, osteoblast)의 분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조골세포의 분화가 더욱 촉진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조골 세포는 뼈가 형성되는데 관여하는 세포입니다. 따라서 조골세포의 분화가 활성화되는 것은 뼈를 더욱 활발하게 만들어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머위 추출물은 뼈의 형성을 담당하는 조골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뼈 건강에 일정수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Aqueous extract of Petasites japonicus leaves promo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via up-regulation of Runx2 and Osterix in MC3T3-E1 cell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46688/

 

 

 

2. 머위 추출물이 비만 상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20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머위 추출물은 항비만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식세포 (macrophage)를 대상으로 머위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대사물질이나 염증 단백질의 수치가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머위추출물이 비만에 동반되는 염증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머위추출물은 지방세포에도 이로운 영향을 미쳤는데요.

 

머위추출물을 투여할 경우, 대사율을 촉진하여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이라는 호르몬의 수치가 증가하였습니다. 

 

머위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해보니 26종의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들이 검출되었는데요. 이러한 폴리페놀 성분들이 항비만 효과에 도움이 되는 성분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의견입니다.

 

Anti-Obesity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s (Meowi) Ethanol Extract on RAW 264.7 Macrophages and 3T3-L1 Adipocytes and Its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ic Compounds
https://pubmed.ncbi.nlm.nih.gov/32365527/

 

 

 

3. 머위 추출물이 신경보호 효과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22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머위 추출물이 신경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습니다.

 

특정 화학물질로 신경염증을 유도한 뒤, 머위 추출물을 투여해본 결과, 머위추출물은 신경 염증 (neuroinflammation)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머위 추출물은 염증 작용에 관여하는 여러 염증 단백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독성 (synaptotoxicity) 역시 머위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효과가 의미있는 까닭은 신경염증 반응이 알츠하이머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경전달독성으로부터 신경을 보호하고, 신경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데 이로운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머위 추출물은 신경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Petasites japonicus leaf extract inhibits Alzheimer's-like pathology through suppression of neuroinflammation
https://pubmed.ncbi.nlm.nih.gov/36193798/

 

 

 

 

 

머위 추출물의 부작용

 

머위 추출물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 자료가 아직 충분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부작용으로는 배에 가스가 차거나 울렁거림, 설사, 약간의 복통 등이 있습니다.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피부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증 등을 경험했다면 해당 추출물의 섭취를 중단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십시오.

 

머위 추출물에 대한 또다른 우려는 간독성에 관한 것입니다.

 

머위에 들어있는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pyrrolizidine alkaloids)라는 성분이 간 독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머위추출물을 보조제 형태로 섭취할 경우,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성분이 적절히 제거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Butterbur
https://www.nccih.nih.gov/health/butterbur

 

또한 2012년에 발표된 동물실험 논문에서는 4주간 머위잎 분말을 섭취한 쥐에게서 간의 산화성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는 결과를 언급하는데요. 이러한 실험 결과로 볼 때, 머위 관련 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간독성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Japanese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leaves increase hepatic oxidative stress in male rats
https://pubmed.ncbi.nlm.nih.gov/23132561/

 

 

 

 

 

머위 추출물의 복용법

 

머위 추출물은 제품에 따라 1회 함량과 사용법이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하여 섭취해주십시오.

 

 

 

식물성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오늘도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