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제품 성분] PEG (피이지, 폴리에틸렌글리콜)란? 역할 (용도), 부작용 및 관련 정보

by 웰빙유랑 2023. 1. 28.

PEG (피이지, 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란?

 

PEG (피이지)는 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약자입니다. PEG는 중합체의 일종으로 폴리에테르 (polyether)로 분류됩니다. 

 

 

폴리에테르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어진 분자구조를 뜻하지요. 

 

PEG는 주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에칠렌 옥사이드, ethylene oxide)를 반응시켜서 얻는 물질을 일컫습니다.

 

반응시켜 얻은 물질의 분자량과 분자구조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PEG 옆에 숫자를 붙이기도 합니다. 

 

그 숫자는 해당 PEG의 평균 분자량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서 PEG-60이라고 한다면, 해당 PEG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60인 셈입니다.

 

PEG는 친수성, 즉 물과 잘 섞이는 특징이 있고, 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화장품의 성분으로도 많이 쓰입니다.

 

PEG의 종류에 따라서 화장품의 성분으로 활용시, 각기 다른 효과를 노릴 수 있습니다. 

 

 

 

 

PEG (피이지, polyethylene glycol)의 용도

 

1. 화장품과 기타 미용제품

 

피부에 바르는 미용제품의 성분들을 찾아보면, PEG-숫자 형태의 성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PEG 성분으로 분류되지만, 저마다 하는 역할이 다릅니다. 

 

계면활성제나 유화제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친수성 성분과 소수성 성분이 잘 섞이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먼지나 때, 기름 같은 것을 물로 닦아내는데 유용합니다.

 

 

 

물에 잘 섞이는 미용제품 성분과, 기름에 잘 섞이는 미용제품 성분을 섞어서 한 제품으로 만들어야 할 때도 쓸 수 있고요.

 

보습제의 성분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PEG는 피부의 수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바르는 제품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PEG 성분을 쓰기도 하고요. 

 

제품이 뭉쳐서 덩어리를 형성하지 않도록 돕는 안티케이킹 성분으로도 사용됩니다.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제품의 경우,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받아서 분말이 덩어리질 수 있는데요.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2. 변비 증상 치료제

 

화장품에서 많이 볼 수 있는 PEG 성분이지만, PEG는 종류에 따라서 변비를 치료하는데도 쓰일 수 있습니다.

 

특히 미성년의 변비 증상을 치료하는데, PEG 성분이 쓰입니다.

 

2018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PEG 3350과 PEG 4000의 소아과 변비치료제로써의 효과를 비교하였습니다.

 

해당 논문에서는 변비를 겪고 있는 생후 6개월부터 16세에 이르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1) PEG 3350과 전해질 조합  또는 (2) PEG 4000를 투여한 뒤, 변비 증상이 어떻게 호전되는지 알았지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PEG 3350과 PEG 4000에서의 숫자는 모두 해당 PEG 성분의 평균 분자량입니다. 즉, PEG 3350은 분자량이 3350g/mol의 물질을 뜻하고, PEG 4000은 4000g/mol의 물질을 뜻합니다.

 

두 변비치료제의 효과를 비교해보니,

 

PEG 3350과 전해질을 사용한 참가자와 PEG 4000을 사용한 참가자 모두 호전 정도가 유사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변비치료제를 장기복용하여도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고요. 부작용을 경험한 참가자의 비율도 유사하였습니다. 

 

따라서 연구진들은

- PEG 3350 + 전해질 또는

- PEG 4000을 소아청소년의 변비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밝힙니다.

 

 

 

 

PEG (피이지, 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부작용

 

다양한 PEG 성분이 범용적으로 화장품에 쓰여온 역사만큼이나 PEG 성분은 안전하고 독성이 적은 물질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알러지 반응도 드문 편입니다. 다만, 개인의 체질에 따라서 알러지 반응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증 등을 특정 제품 사용후 경험했다면, 해당 제품은 사용을 중단하고 증상 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EG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따가움이나 피부 자극, 피부 홍조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증상은 상처가 난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많은 미용제품에서 접할 수 있는 피이지 (PEG) 성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polyether
https://www.britannica.com/science/polyether

Safety Evalu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Compounds for Cosmetic Us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505343/

 

Moisturizer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Skin Disease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315586/

 

The Importance of Poly(ethylene glycol) Alternatives for Overcoming PEG Immunogenicity in Drug Delivery and Bioconjugation
https://pubmed.ncbi.nlm.nih.gov/32024289/

Polyethylene glycol (PEG) FAQs
https://www.abcam.com/primary-antibodies/polyethylene-glycol-peg-faqs

 

Polyethylene Glycol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7652/

Polyethylene Glycol 3350 With Electrolytes Versus Polyethylene Glycol 4000 for Constip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753830/

 

피이지-32
https://kcia.or.kr/pedia/search/search_01_view.php?no=125

PEG That Reaction: A Case Series of Allergy to Polyethylene Glycol
https://accp1.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jcph.18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