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보조제 원료] 뱀톱 (중국석송, Huperzia serrata) 효능, 부작용, 복용법

by 웰빙유랑 2022. 10. 28.

뱀톱이란?

 

뱀톱은 중국석송이라고도 불리는 식물로 뱀톱과 (Huperziaceae) 뱀톱속 (Huperzia)에 속합니다. 뱀톱과가 아니라 석송과 (Lydopodiaceae)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입니다. 한국, 일본, 중국 일대와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자라나는 식물입니다.

 

뱀톱은 중국석송이라고도 불립니다. 중국에서 볼 수 있는 석송 식물이라는 것인데요.

 

석송이라는 이름은 돌석 (石)자에 소나무송(松)자를 씁니다.

 

석송은 이름 그대로 숲 속 바위 틈에서 자라나는 소나무를 닮은 식물입니다.

 

영어로 클럽모스 (clubmoss)라고 하기도 합니다.

 

 

 

뱀톱은 중국 민간의학에서 약초로 사용하는 식물입니다. 기억력을 개선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여겨지면서, 외국에서도 추출물 형태로 만들어서 보조제로 판매하기도 합니다. 

 

뱀톱의 학명은 Huperzia serrata입니다. 영어로는 중국석송 (Chinese clubmoss)이라고 하거나 톱니 석송 (toothed clubmoss)라고도 부릅니다.

 

 

 

 

 

뱀톱 추출물의 효능

 

1. 뱀톱 추출성분 (후퍼진A, huperzine A)기억력 감퇴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뱀톱 추출성분 중 대표적인 성분이 후퍼진 (휴페르진 Huperzine)입니다. 

 

이 성분은 알츠하이머 등으로 인한 기억력 감퇴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도 약재로 쓰여왔고, 현재도 이 뱀톱 성분의 효능을 다루는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지요.

효과가 없다고 하는 연구가 있는가하면, 일정 수준 효능을 보였다고 결론 내리는 논문도 있습니다.

 

2015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뱀톱 추출물과 후퍼진 A의 효능을 테스트하였습니다.

 

쥐에게 뱀톱 추출물이나 후퍼진 A를 투여한 결과, 약물로 인해 발생하였던 기억력 감퇴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뱀톱 추출물이나 후퍼진 A의 기억력 개선 효과는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물질이 분해되지 않도록 돕기 때문입니다.

 

아세틸콜린은 기억을 저장하는 것과 학습에 팔요한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알츠하이머의 경우, 아세틸콜린의 양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 때문에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막아서 체내에 더 많은 아세틸콜린이 남아있도록 만드는 의약품 역시 개발되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뱀톱 추출물이나 후퍼진 A 역시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를 억제하여 더 많은 아세틸콜린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억력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2021년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뱀톱 추출물의 효과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뱀톱 추출물이 알츠하이머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면서, 뱀톱 추출성분인 후퍼진 A의 기전에 대해 언급하는데요.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막는 것은 물론,

 

후퍼진이 아밀로이드 누적을 막는데도 관여했다고 봤습니다. 

 

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단백질의 일종입니다.

 

많은 아밀로이드가 뇌 세포 쪽에 쌓일 수록, 알츠하이머 증상이 더 나빠질 수 있다고 보는데요.

 

상기 논문에 따르면, 후퍼진은 아밀로이드가 뇌 내에 쌓이는 것을 일정부분 방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후퍼진A가 뇌신경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2. 뱀톱 추출물이 운동 전 섭취할 경우, 근육을 단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2020년에 발표된 논문 리뷰에 따르면, 뱀톱 추출성분인 후퍼진 A는 운동 전 섭취할 경우, 근육 운동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조제 성분입니다.

 

후퍼진 성분은 신경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근육이 더 많이 수축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아세틸콜린 분해 방지 작용과 더불어, 근육 신경을 더 자극하는 기전 덕분에 후퍼진 성분이 운동 전 섭취할 경우, 근육을 단련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이 연구진들의 의견입니다.

 

 

 

3. 뱀톱 추출성분, 후퍼진이 우울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017년의 논문은 후퍼진이 항우울제와 비슷하게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뇌졸중 (stroke)을 겪은 후 발생한 우울증 증상에 후퍼진이 도움이 되었다는 것인데요.

 

이는 후퍼진이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유지되도록 돕는 기전에서 기인하는 효과라고 합니다. 

 

후퍼진을 투여할 경우, 노르에피네프린이나 도파민 등, 기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증가했습니다.

 

항우울증 약 역시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조절하여서 우울증 증상을 완화시키는데요.

 

후퍼진 역시 뇌내 신경전달물질량을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우울증 (실험에서는 뇌졸중 후의 우울증) 증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뱀톱 추출물의 부작용

 

아세틸콜린 농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속 울렁거림, 메슥거림, 구역감, 구토, 설사, 변비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입안이 마르거나 근육이 떨리는 경련 증상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아세틸콜린의 체내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을 이미 복용 중이신 경우, 특히 뱀톱 추출물 성분(후퍼진 A)의 섭취에 주의해주십시오. 섭취 전, 의료 전문가와 상의하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피부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이 발생할 경우, 해당 제품의 섭취를 중단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세요.

 

 

 

 

 

뱀톱 추출물의 복용법

 

후퍼진 A 성분을 기준으로 살펴보자면,

대부분의 제품은 후퍼진 A 100ug을 하루에 1-2회 섭취하는 용량으로 출시됩니다.

 

목표하는 효능에 따라서 하루에 약 500ug의 후퍼진A를 섭취하기도 합니다.

 

제품에 따라 함량과 복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섭취 전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해주십시오.

 

 

 

 

식물성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Huperzia serrata Extract ‘NSP01’ With Neuroprotective Effects-Potential Synergies of Huperzine A and Polyphenol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35632/

Japanese Huperzia serrata extract and the constituent, huperzine A, ameliorate the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https://pubmed.ncbi.nlm.nih.gov/26059088/

Huperzine A and Its Neuroprotective Molecular Signaling in Alzheimer’s Diseas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587556/

A phase II trial of huperzine A in mild to moderate Alzheimer diseas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69774/

 

Effects of Pre-Workout Multi-Ingredient Supplement on Anaerobic Performance: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664913/

 

Administration of Huperzine A exerts antidepressant-like activity in a rat model of post-stroke depression
https://pubmed.ncbi.nlm.nih.gov/2858357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