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보조제 원료] 마가목 추출성분 효능, 부작용, 복용법

by 웰빙유랑 2022. 9. 15.

마가목이란?

 

마가목은 장미과 (Rosaceae) 마가목속 (Sorbus)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울릉도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마가목의 잎과 열매

 

마가목의 줄기는 전통의학이나 민간의학에서 약재로 쓰입니다. 몸의 기운을 보충해주는 강장 역할을 할 수 있고, 신경통 증상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마가목은 10m에 달하는 높이로 자라날 수 있고, 여름경에 하얀 꽃을 피웁니다. 마가목은 관상수로도 활용됩니다.

 

마가목이라는 이름은 마가목 나무에서 돋아나는 어린 잎이 말의 이빨을 닮았다는 점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원래는 말의 이빨을 닮은 잎을 가진 나무라는 뜻에서 마아목 (말마(馬)에 어금니아(牙), 그리고 나무목(木))이라고 불리던 것이, 마가목이라는 이름으로 변형되었다고 하네요.

 

마가목의 학명은 Sorbus commixta입니다. 서구권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마가목속 식물로 Sorbus aucuparia라는 품종이 있습니다. 이 품종이 영어로 단순하게 불릴 때, 로완 (Rowan)이라고 합니다.

 

동아시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마가목 나무의 경우, 이와 구분하기 위해서 재패니즈 로완 (Japanese rowan)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마가목 추출성분의 효능

 

1. 마가목 추출성분이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에 의한 혈관 염증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07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과당 (fructose)을 많이 섭취하여서 대사증후군이 유발될 경우, 마가목의 나무껍질에서 추출한 성분이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쥐들을 네 그룹으로 나누어서, (1) 위약군   (2) 과당 섭취군   (3) 과당과 마가목 추출물 100mg/kg 섭취군   (4) 과당과 마가목 추출물 200mg/kg 섭취군으로 배정하였습니다. 그리고 7주 동안 주어진 제제들을 섭취하도록 하였습니다.

 

7주 동안 마가목 나무껍질에서 추출한 성분을 과당과 함께 섭취한 쥐의 경우, 혈관 염증에 관여하는 물질의 생성이 줄고, 혈관 염증을 가라앉히는 체내 물질의 생산이 회복되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염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증가하는 염증 단백질들의 발현 역시 억제되었습니다.

 

마가목 추출성분은 대동맥의 내막 (intima)와 중막 (media)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동맥의 내막과 중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은 동맥경화의 리스크가 증가하는 것을 봅니다. 

 

따라서 대동맥의 내막과 중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논문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마가목의 나무껍질에서 추출한 추출성분은 대사증후군으로 인한 혈관 염증과 혈관 건강을 개선 또는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Methanol extract of Sorbus commixta cortex prevents vascular inflammation in rats with a high fructose-induced metabolic syndrome
https://pubmed.ncbi.nlm.nih.gov/17436367/

 

 

 

2. 마가목 추출성분이 뼈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6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마가목 추출성분은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가목이 전통적으로 관절염과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쓰인 약재라는 점에서 착안한 연구였습니다.

 

상기 논문에서는 마가목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펜 계열 성분인 루페올 (lupeol)의 효과를 실험하였는데요.

 

루페올은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 (osteoclast)의 분화를 감소시키고, 뼈의 분해 과정을 억제하였습니다. 

 

또한 동물실험에서 루페올을 사용한 결과, 뼈의 손실량 역시 줄어드는 것이 관찰되었고요. 

 

따라서 마가목 추출성분 루페올은 뼈의 지나친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Lupeol Isolated from Sorbus commixta Suppresses 1α,25-(OH)2D3-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Loss in Vitro and in Vivo
https://pubmed.ncbi.nlm.nih.gov/26878936/

 

 

 

3. 마가목 추출성분이 항염 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1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마가목 추출성분의 염증 억제 작용을 다룹니다.

 

세포 실험을 통해서, 마가목 수용성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실험하였는데요.

 

마가목 추출성분은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일산화질소 (nitric oxide)와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항염 효과는 마가목 추출물의 용량에 비례하였습니다.

 

또한 마가목 추출성분을 투여할 경우, 염증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호전달 효소들의 작용 역시 감소하였습니다.

 

따라서 마가목 추출성분은 염증을 가라앉힐 수 있는 물질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orbus commixta water extract and its molecular inhibitory mechanism
https://pubmed.ncbi.nlm.nih.gov/21195756/

 

 

 

4. 마가목 추출성분이 항산화 작용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02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마가목 추출성분은 항산화 반응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가목의 나무껍질로부터 얻은 추출성분의 경우, 산화성 스트레스를 증가시켜서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자유 라디칼들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세포손상과 조직기능저해를 유발하는 지질 과산화 (lipid peroxidation) 반응 역시 억제하였습니다. 

 

이러한 항산화 작용을 보이는 마가목 추출성분으로는 (1) 카테킨 -7-O-베타-D-자일로피라노시드카테킨-7-O-베타-D-자일로피라노시드와 (2) 카테킨-7-O-베타-D-아피오퓨라노사이드카테킨-7-O-베타-D-아피오퓨라노사이드가 있었습니다.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Sorbus commixta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203041136495.page

 

 

 

5. 마가목 추출성분이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7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마가목 추출성분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가목 나뭇가지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마가목 추출성분은 피부의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을 분해하는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를 억제하였습니다. 따라서 마가목 추출성분은 피부의 탄탄함이나 탄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성분들을 보존함으로써,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마가목 추출성분은 세포 내에서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현을 감소시켰습니다. 그러므로 피부의 항산화 작용을 촉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가목 추출성분은 자외선으로 인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기도 하였습니다. 해당 유전자의 경우, 피부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마가목의 효능은 피부 염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마가목 나뭇가지로부터 얻은 마가목 추출성분은 피부 항산화 작용, 항염 효과, 피부 구성성분 보호효과 등을 통해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피부 광노화 작용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Suppression of Ultraviolet B-mediated Matrix Metalloproteinase Generation by Sorbus commixta Twig Extract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php.12868

 

 

 

 

 

마가목 추출성분의 부작용

 

마가목 추출성분의 부작용에 대한 연구 자료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발행된 논문 자료를 토대로 볼 때, 마가목 추출성분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다만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피부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증 등이 발생한 경우, 제품의 섭취를 중단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세요.

 

 

 

 

 

마가목 추출성분의 복용법

 

제품에 따라 함량과 복용법이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해주십시오.

 

 

 

 

식물성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