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강 주정 추출물이란?
우리가 먹는 쌀은 벼의 씨앗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벼를 수확하여 겉껍질을 제거하면 우리가 아는 현미가 됩니다. 그리고 벼의 속껍질 (즉 현미의 껍질 부분)을 제거하면 백미 (흰쌀)이 되는데요.
미강은 바로 이 벼의 속껍질 부분을 가리킵니다. 즉,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때 얻는 부산물인 셈입니다.
미강은 벼를 도정하면서 자연스럽게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미강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는데요. 사료로 쓰거나, 기름을 압출해서 미강유를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제 미강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강을 발효주정 (에탄올)을 사용하여 주요 성분을 추출한 뒤, 건강기능식품에 성분으로 활용합니다.
미강을 영어로 표기할 시, 라이스 브랜 (rice bran)이라고 씁니다. 브랜 (bran)이라는 것은 곡물의 껍질 부분을 뜻합니다. 따라서 직역하면 쌀의 껍질 (쌀겨)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미강 주정추출물의 효능
식약처의 공식 효능에 따르면, 미강 주정추출물은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19년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미강 추출물은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연구진들은 일전에 쥐를 대상으로 미강 추출물을 사용하여서 그 효과를 확인하기도 하였는데요.
2019년의 연구에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미강 추출성분의 효능을 실험해보았습니다.
수면장애를 가진 5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한 뒤, 매일 미강 추출물 1000mg 또는 위약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섭취기간은 2주로 설정하였습니다.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미강 추출물을 섭취한 쪽은 여러 수면 패턴의 변화를 보였는데요.
미강 추출물을 섭취할 경우, 잠에 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었고, 총 수면시간 역시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수면 효율성 역시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미강 추출물을 섭취한 쪽은 ESS 점수 역시 낮아진 것을 확인했는데요. ESS점수는 낮에 얼마나 졸린지를 체크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점수가 높을 수록, 수면장애 등으로 인해 잠부족으로 일중 활동시간에 졸음을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ESS점수가 낮아졌다는 것은 낮시간 동안에 느끼는 졸음의 정도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미강 추출물은 수면의 질과 수면시간을 개선하여, 수면을 취하는데 전반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Rice bran extract supplement improves sleep efficiency and sleep onset in adults with sleep disturbanc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olysomnographic stud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710429/
미강 주정추출물의 추정 기전 (작용 원리)
이러한 미강 추출물의 작용은 히스타민 H1 수용체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생합니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H1, H2, H3, 그리고 H4로 구분됩니다. 네 종류의 히스타민 수용체 중에서 H1 수용체가 활성화될 경우, 잠에서 깨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해당 수용체의 길항제 (대항제 또는 억제제로도 표기, antagonist)를 사용하여서 수면을 유도하는 의약 성분도 개발이 되었는데요.
미강 추출물의 경우, H1 수용체에 관여하여 수면의 질을 개선하도록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2017년의 한 연구에서는 미강 추출물이 작용하는 원리를 알아내기 위해서, 미강 추출물과 다른 수용체 작용제들을 경쟁시켜 보았는데요.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과 경쟁할 경우, 미강 추출물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연구진들은 미강 추출물이 수면을 돕는 기전은 히스타민 H1 수용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leep-Promoting Effects and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Associated with a Standardized Rice Bran Supplement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452242/
미강 주정추출물의 부작용
현미로부터 얻어지는 부산물을 원료로 하는 만큼, 큰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곡물의 껍질에서 유래한 성분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배변 활동에 영향을 주거나, 배에 가수가 찰 수 있습니다. 또한 미강 추출물을 처음 섭취하는 경우, 약간의 울렁거림이나 복통 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미강 추출성분은 졸음을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나 중추신경계 억제제 등의 의약품과 함께 쓸 경우, 졸음 등의 부작용 리스크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졸음을 느끼는 의약품을 복용 중이시라면, 미강 추출물의 섭취에 주의해주세요.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가능합니다. 미강 추출성분을 섭취한 후, 피부 두드러기나 발진, 가려움증 등을 경험했다면 섭취를 중단하고 병원에 방문해주세요.
어린이, 임산부,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 자료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나이가 어리거나, 임신 또는 수유 중이신 경우, 미강 추출물의 섭취에 주의해주세요.
미강 주정추출물의 복용법
미강주정추출물의 일일섭취량은 미강주정추출물로서 하루 1g입니다.
제품에 따라 함량과 복용법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해주세요.
건강기능식품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기능식품] 엉겅퀴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8.02 |
---|---|
[기타보조제 원료] 자바플럼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8.01 |
[기타보조제 원료] 바코파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30 |
[기타정보] 세로토닌과 체중 (0) | 2022.07.29 |
[기타보조제 원료] 생강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