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건강정보] 아스파탐, 무설탕 (제로슈거) 음료와 페닐알라닌에 대한 정보

by 웰빙유랑 2023. 7. 3.

아스파탐이란?

 

아스파탐은 설탕 대신 단맛을 더해주는 인공 감미료의 일종입니다.

 

 

요즘 설탕이 많이 들어가는 음료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들을 계속해서 섭취하다 보면,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신체의 능력에도 과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설탕을 빼고 다른 감미료를 넣었다는 제품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이렇게 무설탕이나 제로슈거라고 홍보하는 제품들의 상당수가 단맛을 내기 위해 아스파탐을 사용합니다.

 

 

 

 

 

아스타팜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아스타팜은 아미노산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집니다.

 

특히 두가지 아미노산이 필요한데요.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과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이라는 두가지 아미노산을 사용해서 아스파탐을 만들게 됩니다. 

 

이 두 아미노산을 만들기 위해서, 박테리아를 사용하게 됩니다. 박테리아에 양분을 공급하면, 박테리아가 이를 발효시켜서 두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생산된 아미노산은 일련의 합성과 정제 과정을 거쳐서 아스파탐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아스파탐은 커피나 탄산음료, 유제품 등 다양한 제품의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 쓰이게 됩니다.

 

 

 

 

아스파탐과 제로칼로리? 아스파탐은 0칼로리일까?

 

아스파탐이 들어간 식품은 무설탕이고 제로칼로리라고 알려지곤 하는데요.

 

제로칼로리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시면,

 

제품에서 칼로리가 매우 낮으면 제로칼로리라고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식품에서 제로칼로리라는 것은 

식품 100mL당 열량이 4cal 미만이거나, 1회 제공량에 5kcal 미만이 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엄격하게 따지면, 약간의 칼로리가 들어있을 수도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제로칼로리라고 홍보되고 있는 제품들도 약간의 칼로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칼로리의 수치가 매우 낮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아스파탐의 칼로리는 얼마일까요? 설탕보다 낮을까요?

 

놀랍게도 아스파탐의 칼로리는 설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아스파탐 1g당 약 4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탕의 칼로리를 1g 당 약 3.87cal으로 봅니다. 설탕과 비슷한 수준의 열량으로 볼 수 있지요.

 

그럼에도 무설탕 음료를 만들때, 아스파탐을 선호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아스파탐이 설탕보다 훨씬 강한 단맛을 내기 때문에, 같은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총량이 적어집니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단맛이 약 200배 강하고 봅니다. 같은 수준의 단맛을 내기 위해서는 200분의 1 수준의 총량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부터 나오는 열량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줄인 열량은 제로칼로리 기준에 맞는 (=매우 낮은 수준의 열량만을 함유한) 제품이 되는 것이지요.

 

 

 

 

아스파탐을 섭취하는 것이 부작용으로 이어질까?

 

아스파탐이 들어간 음료의 경우, 감미료로 쓰인 아스파탐의 양이 적습니다. 따라서 적은 양의 아스파탐을 섭취하는 것이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특정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서 페닐케톤뇨증 (Phenylketonuria, PKU)을 앓고 있다면 아스파탐을 섭취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페닐케톤뇨증은 유전질환의 일종으로, 페닐알라닌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꾸어주는 효소가 부족한 상태로 인한 질환입니다.

 

페닐케톤뇨증을 진단받은 사람이 페닐알라닌을 불필요하게 섭취할 경우, 이러한 페닐알라닌이 체내에서 제대로 대사되지 못하고 인지능력이나 신경학적인 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앞서 아스파탐이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을 합성하여서 만들어진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아스파탐은 몸에서 다시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으로 분해됩니다. 이렇게 분해된 두 아미노산은 체내로 흡수되게 됩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흡수된 페닐알라닌은 대사과정을 거쳐서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뀌게 됩니다. 하지만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경우, 페닐알라닌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꾸는 효소의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체내 페닐알라닌 혈중 수치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음료나 음식에 들어있는 소량의 아스파탐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드뭅니다.

 

세계보건기구 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가 아스파탐을 암을 유발할 수도 있는 물질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로 분류할 것이라고 합니다. 

 

(+) 암에 대한 위험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될 예정이지만, 어느 정도로 많은 양의 아스파탐이 암의 위험성을 높이지는지에 대해선 아직 자료가 부족하다고 합니다.

 

Exclusive: WHO's cancer research agency to say aspartame sweetener a possible carcinogen -source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whos-cancer-research-agency-say-aspartame-sweetener-possible-carcinogen-sources-2023-06-29/

 

 

 


 

 

오늘도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Accidental Consumption of Aspartame in Phenylketonuria: Patient Experience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926728/

Aspartame and Other Sweeteners in Food
https://www.fda.gov/food/food-additives-petitions/aspartame-and-other-sweeteners-food

Artificial sweeteners – a review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82014/

The Impact of Artificial Sweeteners on Body Weight Control and Glucose Homeostasi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817779/

0칼로리 인공감미료, 건강한 대안 맞아?[무설탕의 함정②]
 http://www.kukimedi.com/article/view.asp?gCode=01&sCode=0000&arcid=2207110164&code=51111114 

Scientific Opinion on Aspartame
https://www.efsa.europa.eu/sites/default/files/corporate_publications/files/factsheetaspartame.pdf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 ; PKU)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mg/K/bbsDetail.do?menuId=3811&contentId=2472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