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 인산분해효소란?
알칼리인산분해효소 (Alkaline Phosphatase, ALP)는 사람의 체내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효소입니다.
간검사를 할 때 알칼리인산분해효소의 수치를 측정하곤 하는데요. 보통 간 수치가 오르고 내렸다는 것은 간에서 발견되는 효소들의 수치를 뜻합니다.
알칼리 인산분해효소도 간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이고요.
그 외에 AS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anine aminotransferase)가 소위 말하는 '간 수치'가 오르고 내린다고 할 때의 주인공들입니다.
간수치를 말할 때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혈중 수치를 따진다고 해서, 이 효소가 간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효소는 체내의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데요.
뼈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효소이고, 신장이나 소장 등에서도 이 효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이 효소가 주로 발견되는 곳은 간과 뼈입니다. 따라서 간이나 뼈의 질환을 판단하기 위해서, 이 효소의 수치를 활용하곤 합니다.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와 뼈의 관계?
이 포스팅을 쓰게 된 것은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와 뼈의 관계를 정리하기 위해서입니다.
알칼리인산분해효소는 뼈의 형성에 관여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혈중 수치가 높다는 것은 뼈의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도 하는데요.
뼈를 형성하는 것은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준다는 것인데,
그러면 이 효소가 높아지는 것이 왜 뼈의 질환을 판별하는데 쓰이는 것일까요?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에 대해서 찾아보다보면, 이 효소가 연령별로 정상 수치범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기, 다시 말해서 뼈가 한창 자라는 10대까지는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정상 수치범위가 성인보다 높습니다.
뼈가 한창 형성되는 어린이나 사춘기 10대 청소년의 경우,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혈중 수치가 높은 것이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이 효소는 칼슘 성분을 활용해서 뼈를 단단하게 만들고, 뼈가 형성되는 대사 과정에 관여합니다.
임산부의 혈중 알칼리인산분해효소 수치 역시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이 효소가 태아의 뼈 형성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어린이, 10대 학생들, 임산부는 혈중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수치가 높게 나올 때, 뼈가 정상적으로 발달하기 위한 과정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면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정상 수치 역시 낮아집니다.
이 때,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수치가 높아진다는 것은 청소년 시기의 뼈의 발달과는 관계 없는 셈이지요. 따라서 간과 뼈의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것입니다.
2022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도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와 성인의 골밀도 간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습니다.
20-40세의 참가자 633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해보았습니다.
참가자들의 총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total alkaline phosphatase)의 혈중 수치를 측정한 후, 이들의 요추 골밀도 (lumbar bone mineral density, lumber BMD) 수치를 확인하여 두 수치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요.
두 수치를 비교한 결과,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수치와 요추 골밀도의 수치가 음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즉, 알칼리 인산분해효소의 혈중 수치가 높을 수록, 골밀도가 낮았다는 것입니다.
알칼리인산분해효소의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높다면?
많은 경우, 간의 질환이나 뼈의 질환을 의심할 때, 이 수치를 따져보게 됩니다.
간의 경우,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뿐만이 아니라, AST, ALT 등의 간 효소 수치를 측정하여서 간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데 쓰입니다.
뼈의 대사 작용에 관여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뼈 관련 질환을 테스트하는데에도 이 효소의 수치를 측정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 알칼리인산분해효소의 수치는 파제트 병 (Paget's disease)와 같은 질환을 판별하는데 쓰입니다. 파제트 질환은 뼈의 대사 작용에 관여하여서, 비정상적인 뼈가 형성되도록 합니다.
그 외에 갑상선 질환이나 부갑상선 질환을 진단하는데 쓰이기도 합니다.
알칼리 인산분해효소는 다양한 질환을 판단하는데 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수치만을 단독으로 활용하여서 질병 유무나 진행 상황을 판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효소의 수치 외에도 다양한 검사 수치들을 함께 측정하여서 상황을 가늠하는 것이지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THE ROLE OF ALKALINE PHOSPHATASE IN OSTEOGENESI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136039/
Alkaline phosphatase: Structure, expression and its function in bone mineralization
https://pubmed.ncbi.nlm.nih.gov/32522695/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young adults
https://bmcmusculoskeletdisord.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891-022-05438-y
A quantitative method to determine osteogenic differentiation aptness of scaffold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254472/
Causes of High Bone Alkaline Phosphatase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13102818.2007.10817444
Alkaline Phosphatase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59201/
Alkaline Phosphatase (ALP)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agnostics/22029-alkaline-phosphatase-alp
[의학]골다공증과 Alkaline Phosphatase
https://www.ibric.org/bbs/trend/0102/010215-8.html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정보] 카페인을 샴푸에? 카페인 샴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7.05 |
---|---|
[건강정보] 아스파탐, 무설탕 (제로슈거) 음료와 페닐알라닌에 대한 정보 (0) | 2023.07.03 |
[기타성분원료] 은엽 아카시아 추출물 효능, 부작용, 사용법 (0) | 2023.06.29 |
[기타성분 원료] 샤라 (Plectranthus aegyptiacus) 추출물 효능, 부작용, 사용법 (0) | 2023.06.27 |
[기타원료 성분] 우바 우르시 (곰들쭉 월귤나무 urva ursi)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