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타정보] 안드로겐과 탈모

by 웰빙유랑 2023. 5. 2.

안드로겐이란?

 

안드로겐은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하는 체내 호르몬들을 뜻합니다. 대표적인 남성호르몬으로 테스토스테론을 들 수 있습니다. 

 

기타 안드로겐 호르몬으로는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dehydroepiandosterone)이나 안드로스테네디온 (androstenedione) 등이 있습니다.

 

 

탈모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면서, 주목받은 안드로겐 호르몬으로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 DHT)가 있습니다.

 

안드로겐성 탈모의 원인 호르몬으로 주목받는 물질인데요.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 환원효소 (5-alpha reductase) 반응을 통해서 생성되는 호르몬입니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특이한 점은 안드로겐 호르몬 중에서 안드로겐 효과가 가장 강력하다는 것입니다. 주로 간에서 만들어지고, 온몸순환 (또는 체순환, systemic circulation)하는 혈액에는 소량만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소량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남성 호르몬으로써 미치는 영향은 남성의 2차 성징에 매우 중요합니다.

 

 

 

 

 

안드로겐성 탈모란?

 

안드로겐 호르몬으로 인해 머리카락이 빠지는 현상입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드로겐 호르몬은 두피의 모낭에서 머리카락이 자라나는 것을 억제합니다. 이 호르몬의 별난 점은 두피의 머리카락은 자라지 않게 하는데 비해, 어깨나 등에는 오히려 털이 수북하게 자라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탈모에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안드로겐 호르몬에 의한 현상인 경우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또한 안드로겐 호르몬으로 인한 탈모는 두피의 머리카락을 모두 빠지게 하지는 않습니다. 안드로겐 호르몬은 목 쪽에 가까이 위치한 모낭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목 쪽에 가까운 머리숱은 유지되곤 합니다.

 

 

 

 

 

안드로겐성 탈모의 치료법

 

많은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탈모를 진단받고, 본인의 탈모 증상에 적절한 의약품을 처방받게 됩니다.

 

1. 대표적으로 잘 알려진 탈모치료제로는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가 있습니다. 이 둘 모두 처방을 필요로 하는 전문의약품입니다.

 

이 두 약은 모두 5-알파 환원효소를 저해하는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테스토스테론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탈모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지요.

 

호르몬 레벨에서 탈모를 조절하는 만큼, 효과를 보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 모두 적어도 3개월을 복용해보아야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남성호르몬 성분의 생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임산부나 임신 예정 중인 여성은 가급적 해당 약물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태아의 발달에 필요한 남성 호르몬의 생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수 있기 때문이지요.

 

 

 

 

2. 바르는 미녹시딜 제제 역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미녹시딜은 피나스테리드나 두타스테리드와 달리, 머리카락의 성장 주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머리카락의 성장 주기 중 머리카락이 자라지 않는 휴식기간을 단축시키고, 머리카락의 성장기가 앞당겨지도록 합니다.

 

바르는 미녹시딜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적어도 4-8주가 필요합니다. 또한 뚜렷한 개선 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약 4-6개월 정도 꾸준히 사용해보아야 합니다.

 

 

3. 이 외에 여성형 탈모증에 쓰이는 알파트라디올이 있습니다.

 

알파트라디올 역시 바르는 제형의 약물입니다. 

 

2012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바르는 알파트라디올 제제에 대한 효능을 실험해보았습니다.

 

18-55세의 여성 참가자 53명을 대상으로 바르는 알파트라디올을 하루에 한번 8개월간 바르도록 한 뒤, 그 효과를 테스트해보았는데요.

 

4개월차, 8개월차에 여성형 탈모의 상태변화를 살펴본 결과, 머리카락의 수와 직경이 통계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보였습니다. 

 

 

 

또한 연구진들이 시각적인 탈모 상태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는 물론, 환자가 직접 탈모 상태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도 모두 탈모에 뚜렷한 개선이 보인다는 평가가 두드러졌습니다. 또한 바르는 알파트라디올 제제는 8개월의 사용기간 동안 별다른 부작용 역시 보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연구진들은 바르는 알파트라디올 제제가 여성형 탈모증에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립니다.

 

연구 초록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The Efficacy and Safety of 17α-Estradiol (Ell-Cranell® alpha 0.025%) Solution on Female Pattern Hair Loss: Single Center, Open-Label, Non-Comparative, Phase IV Stud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412238/

 

 

 

안드로겐성 탈모의 경우,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잘 맞는 의약품을 알아보고 이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마다 장단점이 있고, 성별에 따라 처방받을 수 있는 약물의 성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Biochemistry, Dihydrotestosterone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7634/

Androgenetic Alopecia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30924/

Alopecia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8178/

탈모치료제 올바르게 사용하기
https://nedrug.mfds.go.kr/pbp/CCBFC03/getItem?tchmtrId=SU201911240041#SU20191124004121 

The Efficacy and Safety of 17α-Estradiol (Ell-Cranell® alpha 0.025%) Solution on Female Pattern Hair Loss: Single Center, Open-Label, Non-Comparative, Phase IV Stud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41223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