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포나리아란?
사포나리아란 아스포델루스과 (Asphodelaceae) 알로에속 (Aloe) 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아프리카 남부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로에 사포나리아는 껍질까지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알로에 품종으로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알로에 사포나리아의 특징은 해당 알로에의 즙은 거품이 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누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비누 대용품으로써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까닭에 알로에 사포나리아는 영어권에서 비누 알로에 (soap alo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알로에 사포나리아의 학명은 Aloe maculata입니다. 영어로 단순하게 부를 경우, 아프리칸 알로에 (African aloe) 또는 비누 알로에 (soap aloe)라고 합니다.
알로에 사포나리아의 효능
1. 알로에 사포나리아가 피부의 진통작용과 항염증 반응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2013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알로에 사포나리아가 통증과 염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습니다.
화상 치료를 받아야 하는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요. 설파디아진 (sulfadiazine) 1% 크림이나 알로에 사포나리아 0.3-30% 크림을 화상 상처에 하루에 한번 바르도록 한 뒤, 변화를 관찰하였습니다.
매일 통증을 느끼는 정도와 염증 반응이 발생한 정도를 측정해보니, 알로에 사포나리아 10% 크림을 사용할 경우 통증으로 인한 쥐의 행동변화가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상처가 부어오른 상태가 개선되었고요.
진통효과와 항염증 효과는 알로에 사포나리아 크림 3-30%의 농도에서 관찰되었는데요. 가장 효과가 큰 크림의 농도는 10%였다고 합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알로에 사포나리아 추출 성분은 화상으로 인한 피부 통증과 염증을 진정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loe saponaria Haw on thermal injury in rats
https://pubmed.ncbi.nlm.nih.gov/23333747/
2. 알로에 사포나리아 추출성분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식약처의 공식 효능은 아닙니다.
잦은 자외선 노출은 피부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산화성 스트레스가 발생함으로 인해 피부 조직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을 뿐더러, 자외선과 함께 동반되는 태양열로 인해 일광화상을 입기도 하는데요.
알로에 사포나리아 추출성분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2014년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알로에 사포나리아 추출성분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광화상을 입은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위약크림이나 농도 1%의 설파디아진은 (silver sulfadiazine) 크림 또는 농도 10%의 알로에 사포나리아 크림을 일광화상 부위에 바르도록 하였는데요.
알로에 사포나리아 크림 또는 은설파디아진 크림을 사용한 동물들의 경우, 자외선으로 인한 통증과 통증 민감도가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염증과 산화성 스트레스 역시 감소하였습니다.
세포 실험 환경에서 알로에 사포나리아, 그리고 그 추출성분인 알로인과 루틴은 과산화수소로 인해 발생한 산화성 스트레스를 줄어들게 하는 효과 역시 보였습니다.
따라서 알로에 사포나리아는 피부 일광화상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Aloe saponaria Haw in a model of UVB-induced paw sunburn in rats
https://pubmed.ncbi.nlm.nih.gov/24681774/
알로에 사포나리아의 부작용
알로에를 섭취시 발생할 수 있는 경미한 부작용으로는 설사나 복통 등이 있습니다.
알로에 사포나리아는 다른 알로에 품종과 마찬가지로 알로인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성분은 바바로인이라고도 불리는 성분인데, 높은 함량을 섭취할 경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2021년 8월에는 한국소비자원에서 이와 관련하여 보도자료를 발표하기도 하였는데요. 해당 자료에서는 많은 양의 알로에 추출성분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유전독성이나 발암성, 간독성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알로에 제품을 계속하여 섭취하는 것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알로에 사포나리아의 사용법
제품에 따라 사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조사의 안내를 참고한 후 사용해주세요.
식물성 원료 현명하게 선택하시고, 보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보조제 원료] 생강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8 |
---|---|
[건강기능식품] 잔티젠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7 |
[기타성분 원료] 블루멜로우 (당아욱) 효능, 부작용, 사용법 (0) | 2022.07.25 |
[기타보조제 원료] 아스타잔틴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을까? (0) | 2022.07.24 |
[건강기능식품] 닭가슴연골분말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