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타잔틴이란?
아스타잔틴은 카로티노이드의 일종입니다. 카로티노이드는 붉은색이나 노란색을 띄는 색소의 일종인데요. 식물 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자라나는 조류에서도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아스타잔틴이 항산화 작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지면서, 아스타잔틴이 들어있는 건강 보조제들도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러한 아스타잔틴의 경우, 대부분 크릴새우나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 (Haematococcus pluvialis)에서 추출합니다.
아스타잔틴은 음식을 섭취하여서 얻을 수도 있는데요. 아스타잔틴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붉은빛을 띄는 연어나 송어, 새우 등이 있습니다.
아스타잔틴은 바이러스에 영향을 미칠까?
인류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싶은 바람 역시 커졌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질병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치료제는 물론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습관이나 음식들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얻은 원료가 항바이러스 작용이나 항균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들이 진행되곤 하는데요.
아스타잔틴은 항산화 작용이 두드러진다고 알려진 물질 중 하나입니다.
아스타잔틴이 바이러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연구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10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아스타잔틴의 전반적인 면역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참가자들은 각기 다른 용량의 아스타잔틴을 매일 8주 동안 섭취하였습니다. 그리고 체내 면역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해보았는데요.
아스타잔틴을 섭취하기 시작하고, 4주차에 확인을 한 결과, 혈중 아스타잔틴 농도가 증가하였고, 체내 DNA 손상지표가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2mg의 아스타잔틴을 섭취하는 실험군들은 8주차에 면역 단백질과 면역 세포의 수가 늘어나 있었고요.
따라서 아스타잔틴은 면역반응에서 DNA 손상을 억제하고, 면역반응은 증진시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Astaxanthin de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nd enhanced immune response in human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845588/
2022년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식물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과 아스타잔틴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습니다.
까막까치밥나무 열매 (블랙커런트, black currant)와 빌베리 (bilberry)로부터 추출한 안토사이닌과 아스타잔틴 혼합물을 사용하였는데요.
안토시아닌/아스타잔틴 혼합물은 홍역 바이러스 (Measles)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였습니다. 그리고 홍역 바이러스가 세포간 전염되는 것 역시 방지하였고요.
또한 안토시아닌/아스타잔틴 혼합물은 헤르페스 1형 바이러스의 증식 역시 억제하였는데요. 헤르페스 1형 바이러스는 입 주변에 물집이 잡히는 구순 단순포진의 원인 바이러스입니다.
헤르페스 1형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은 항바이러스 제제인 아시클로버 (aciclovir)를 함께 사용할 경우, 시너지효과를 내며 더욱 두드러졌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스타잔틴 등의 카로티노이드 계열 성분은 특정 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A defined anthocyanin mixture sourced from bilberry and black currant inhibits Measles virus and various herpesviruse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264518/
사람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HPV)에 대한 안토시아닌의 효과 역시 연구가 된 적이 있습니다.
사람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사마귀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일종입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서 단순한 피부 사마귀를 유발하거나 생식기 암의 리스크를 높이기도 하는데요.
사람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경우, 정자를 손상시켜 난임을 야기하기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경우, 아스타잔틴 같은 물질이 일정 수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2018년에 발표된 논문입니다. HPV 16번 유형을 실험해보았는데요.
아스타잔틴에 노출된 경우, 바이러스가 정자의 세포막에 부착되는 확률이 뚜렷하게 감소하였습니다.
따라서 아스타잔틴 같은 물질이 특정 유형의 바이러스에 의한 정자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일정수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staxanthin Prevents Human Papillomavirus L1 Protein Binding in Human Sperm Membranes
https://pubmed.ncbi.nlm.nih.gov/30400141/
The implications of male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in couples seeking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ie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838778/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Human papiloma virus infection)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98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성분 원료] 사포나리아 효능, 부작용, 사용법 (0) | 2022.07.26 |
---|---|
[기타성분 원료] 블루멜로우 (당아욱) 효능, 부작용, 사용법 (0) | 2022.07.25 |
[건강기능식품] 닭가슴연골분말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3 |
[기타보조제 원료] 계피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2 |
[기타보조제 원료] 홀리 바질 (툴시) 추출물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2.07.21 |
댓글